연합뉴스에 따르면 코스피가 9일 탄핵 대치 정국 장기화에 2% 넘게 급락해 연저점을 기록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67.58포인트(2.78%) 하락한 2,360.58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이날 35.79포인트(1.47%) 내린 2,392.37로 출발해 장중 2,360.18까지 내려 지난해 11월 3일(2,351.83) 이후 1년 1개월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4.32포인트(5.19%) 하락한 627.01에 장을 마치며 4년 7개월여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7.8원 뛴 1,437.0원을 나타내며 약 2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국내 증시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표결 무산에 탄핵 대치 정국이 장기화한 가운데 환율 급등에 지수 하방 압력이 커지는 흐름을 보였다.
특히 개인이 양 시장에서 투매 양상을 보이며 지수를 끌어 내렸다.
이날 개인은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총 1조원 이상 순매도했는데 시장별 순매도액은 각각 코스피 8천898억원, 코스닥 3천15억원이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서 모두 매수 우위를 보이며 각각 3천60억원, 7천920억원 순매수했다.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투자자별 매매동향에 따르면 지난 한달(11월 7일~12월 6일)동안 기관은 4조 6,677억원을 순매수, 외국인은 4조 7,359억원을 순매도, 개인은 1조 1,532억원을 순매도했다.
![[그래프] 투자자별 일별 매매동향 / 한국거래소](https://cdn.topstarnews.net/news/photo/202412/15580133_1462951_3046.jpg)
○ 외인 매수/매도 종목
투자자별 매매 동향을 살펴 보면 외국인은 국내 증시에서 SK하이닉스(1,322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566억원), 현대로템(401억원), 네이버(381억원) 등을 주로 순매수했고, 유한양행, 알테오젠,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코프로비엠, 두산에너빌리티, JYP엔터, 카카오, 한국항공우주, 한화시스템, 펩트론, 셀트리온, LIG넥스원, 한화오션, 삼천당제약, SKC, 네이처셀 등이 뒤를 이었다.
![[표] 외인 매수/매도 종목](https://cdn.topstarnews.net/news/photo/202412/15580133_1462952_3058.jpg)
반면 삼성전자(764억원), KB금융(433억원), LG화학(398억원), 하나금융지주(256억원), 기아(221억원) 등을 순매도했으며, 신한지주, 고려아연, 안랩, 삼성SDI, 카카오페이, 삼성화재, LG전자, 두산, 메리츠금융지주, KTG, 삼성전자우, 삼성물산, LG에너지솔루션, 하이브, SK 등이 뒤를 이었다.
○ 기관 매수/매도 종목
기관은 국내 증시에서 삼성전자(1,317억원), KB금융(537억원), SK하이닉스(452억원), 네이버(359억원), LG에너지솔루션(335억원), 신한지주(318억원) 등을 주로 순매수했고, 현대차, 기아, LG전자, 알테오젠, 카카오, 메리츠금융지주, HLB, 현대모비스, 셀트리온, 에코프로비엠, HD현대일렉트릭, SK이노베이션, HMM, KTG 등이 뒤를 이었다.
![[표] 기관 매수/매도 종목](https://cdn.topstarnews.net/news/photo/202412/15580133_1462953_3110.jpg)
반면 현대로템(91억원), 하나금융지주(58억원), 두산로보틱스(50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49억원) 등을 순매도했으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키움증권, 에스티큐브, 에스티팜, 한미약품, 펩트론, 대주전자재료, 안랩,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코스모신소재, 휴젤, 뷰노, 한화솔루션, 비에이치아이, GS건설, 고려아연 등이 뒤를 이었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주말 윤석열 대통령 탄핵 부결 등에 정치 불확실성이 지속된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개인의 자금 이탈이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005930](-1.29%), LG에너지솔루션[373220](-0.77%),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0.94%), 현대차[005380](-1.23%), 셀트리온[068270](-2.78%) 등이 내렸다.
탄핵 정국 장기화로 밸류업 정책 동력 상실 우려가 번지면서 KB금융[105560](-2.93%), 신한지주[055550](-1.17%), 메리츠금융지주[138040](-2.19%) 등 금융주가 동반 하락했다.
아울러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방산업 수출 계약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6.38%), LIG넥스원[079550](-9.42%) 등 방산주가 내렸으며 주요국이 한국 여행 경보를 발령하면서 롯데관광개발[032350](-6.60%), 대한항공[003490](-4.32%) 등 여행 관련주도 하락했다.
반면 SK하이닉스[000660](1.08%), 현대모비스[012330](2.53%) 등은 올랐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알테오젠[196170](-6.86%), 에코프로비엠[247540](-0.46%), 에코프로[086520](-0.99%), 리가켐바이오[141080](-5.44%), 휴젤[145020](-6.79%) 등이 내렸다.
반면 탄핵 정국에 '이재명 테마주'인 오리엔트정공[065500]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안랩[053800](25.57%) 등 탄핵소추안 표결에 참석했던 안철수 국민의 힘 의원 관련 종목도 급등했다.
아울러 비상계엄 사태 이후 뉴스에 대한 관심 증대 기대감에 iMBC[052220], YTN[040300] 등 미디어주가 동반 상한가를 기록했다.
업종별로 보면 철강 및 금속(-10.02%), 건설업(-5.64%), 화학(-4.98%), 전기전자(-1.30%) 등 대다수 업종이 내렸다.
이날 장 마감 시점 기준 코스피와 코스닥 시가총액은 2천246조1천769억원으로 계엄선포 이튿날인 4일 이후 144조원 넘게 쪼그라들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52주 신저가를 기록한 종목은 총 1천272개로 지난 8월 5일 '블랙먼데이'(1천357개) 이후 가장 많았다.
이날 하루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9조9천290억원, 6조4천150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