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1분기 영업이익 3,747억…AMPC·환율 효과로 흑자전환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1분기 미국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효과와 출하 증가, 환율 상승에 힘입어 3,747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흑자로 전환했다고 30일 밝혔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8.2% 증가했고, 전 분기 2,255억 원 영업손실에서 이익으로 돌아섰다.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1분기 영업이익 3,747억…AMPC·환율 효과로 흑자전환

AMPC 금액으로는 4,577억 원이 반영됐다. 이를 제외할 경우 830억 원의 영업손실이었다. 지난해 4분기 같은 기준의 영업손실은 6,028억 원이었다.

매출은 6조2,65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수치이며, 전 분기와 비교하면 2.9% 감소했다.

주요 고객사 물량 출하가 예상보다 견조하게 이어졌고, 환율 상승 효과도 실적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다만 완성차 업체들의 재고 정책 영향으로 매출은 전 분기 대비 소폭 줄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원재료비 절감, 비용 효율화 등 원가 개선 노력을 지속했고, 전 분기의 일회성 요인이 제거되면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지난 1분기에는 ‘전기차 캐즘’으로 불리는 수요 둔화 국면과 변동성이 커진 경영 환경 속에서도, 생산시설 효율화와 신규 수주 확대, 사업 다각화 등을 통해 성과를 지속했다.

회사 측은 미국 애리조나 에너지저장장치(ESS) 공장 건설 대신 미시간 단독공장을 ESS 생산기지로 전환하고, 얼티엄셀즈 3기를 단독 공장으로 인수해 북미 ESS 현지 생산시점을 기존 대비 1년 단축하는 등 생산시설 재배치를 추진했다.

올해 경영계획으로 ▲운영 효율화 ▲전략 사업 기회 발굴 ▲관세 영향 완화 및 비용 절감을 제시했다.

투자는 필수 항목을 중심으로 집행하되, 추가적인 투자와 원가 절감 방안 발굴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생산능력(캐파) 확장은 수요 변화에 맞춰 조절할 계획이다.

ESS 부문 매출 확대에 집중하고, 46시리즈 등 신규 제품군을 중심으로 수주역량 제고를 추진하는 한편, 휴머노이드·드론 등 신시장 사업 기회도 모색한다.

관세 영향을 줄이기 위해 북미 진출 소재사와의 협력 확대, 원재료 현지 생산 가속화, 권역별 공급망 효율화와 함께 건식 공정 등 생산비 절감형 신기술 도입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지금의 어려움 속에서도 위기를 극복하면 다시 성장과 도약의 기회를 맞이할 수 있다”며 “지속적인 혁신과 미래 준비로 흔들림 없는 경쟁력 확보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