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도입 IFRS18, 영업이익 산정 방식 변화…투자자 혼란 우려

2027년부터 국내에 도입되는 국제회계기준 ‘IFRS18’이 영업이익 산정 방식의 변화로 인해 기존 K-IFRS보다 유용성이 떨어지고, 투자자들의 의사 결정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29일 ‘IFRS18 도입에 따른 영업이익 개념 변화와 제도적 대응과제’ 이슈 브리핑에서 IFRS18의 영업이익 산정 기준과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2027년
2027년 도입 IFRS18, 영업이익 산정 방식 변화…투자자 혼란 우려

이 연구원은 IFRS18이 손익을 ‘영업’, ‘투자’, ‘재무’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투자와 재무 범주를 제외한 항목을 영업이익으로 분류하는 만큼, 주된 영업활동 중심인 K-IFRS와는 금액과 성격 자체가 모두 다르다고 설명했다.

IFRS18은 손익계산서 내에 영업손익 등 범주별 중간 합계를 새롭게 도입하고, 영업손익을 투자나 재무를 제외한 잔여로 측정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다.

기존 IFRS에서는 영업손익 등 중간 합계의 표시나 측정 기준이 명확히 규정돼 있지 않아 국내에서는 별도 표시를 의무화해왔다.

이상호 연구원은 “현행 K-IFRS 영업이익은 경상적 수익성과 기업 본연의 수익 창출력에 근거한 지표로 지난 20년간 한국 자본시장에서 미래 기업가치 산정에 효율적으로 활용돼 왔다”고 짚었다. 이어 “영업이익의 지속성, 가치관련성, 비교가능성 평가에서 K-IFRS가 IFRS18 방식에 비해 더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한 IFRS18 방식의 영업이익에는 일회성 손익 항목이 대거 포함될 수 있어 정보의 유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부동산 개발 부문을 보유한 A기업이 사택 토지 매각 이익을 영업이익에 포함하면서, 정상 회계 처리에도 ‘가짜 어닝 서프라이즈’ 논란이 제기된 사례를 언급했다.

이 연구원은 IFRS18에서 대규모 일회성 손익이 영업이익에 반영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설명(IR) 활동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으면 투자자가 경상적 성과를 파악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가 경상 영업성과를 명확한 기준에 따라 직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구체적으로는 경상 영업성과 정보 제공 기준과 제공 방식 마련, 거래소 실적 공시 양식의 구조화와 세분화가 대안으로 제시됐다.

또한 경영진이 직접 선정한 성과 측정치를 신뢰성 있게 지속적으로 공개할 수 있도록, ‘경영진이 정의한 성과측정치’의 공시를 제도적으로 유인하는 정책 확대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IFRS18 적용 시 기업 성과 해석상 혼선을 막기 위한 시장 차원의 제도 보완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