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손해보험 매각 무산 사태와 관련해 피해 구제를 촉구하는 국민청원이 지난 23일 자로 종료됐다.
해당 청원은 지난달 24일 등록돼 30일간 진행됐으나, 최종 동의자 수는 3만3401명으로 국회 공식 답변 기준인 5만 명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청원인은 메리츠화재의 인수가 무산된 이후 MG손해보험이 청산 또는 파산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약 124만 명에 달하는 보험 가입자가 보장 공백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MG손보 노동조합이 100% 고용 승계를 요구하며 인수 실사를 거부했고, 이로 인해 매각 절차가 중단됐다고 지적했다. 청원서에는 실사 방해 책임, 경영 실패의 부담 전가, 고령자 및 유병자에 대한 보장 공백 문제 등이 함께 언급됐다.
청원인은 정부와 관계 기관에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책 마련과 책임자에 대한 엄정한 조치를 요구했다.
현재 MG손해보험은 보험금 지급 등 기본 업무를 정상적으로 수행 중이나, 예금자보호법상 보호 한도인 5000만 원을 초과하는 계약 규모는 약 1700억 원으로 추산돼 피해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