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1분기 영업익 2.6%↓…철강 선방·이차전지 부진

포스코홀딩스는 2024년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5,68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줄었다고 2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7조 4,370억 원으로 3.4%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3,440억 원으로 43.4%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철강 수요 부진과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 수요 정체(캐즘) 영향이 실적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포스코홀딩스는 “글로벌 관세 전쟁 및 경제적 불확실성에도 불구, 이번 분기 매출은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개선돼 작년 1분기 수준을 회복했다”고 밝혔다.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홀딩스’ 1분기 영업익 2.6%↓…철강 선방·이차전지 부진

사업부문별로 보면, 철강 부문에서 포스코의 매출은 8조 9,680억 원으로 5.8% 하락한 반면, 원가 절감과 판매가격 상승 효과로 영업이익은 3,460억 원으로 17.3% 증가했다. 주요 공장 수리로 생산 판매가 감소했으나 수익성 개선이 뚜렷하다고 설명했다.

해외 철강은 매출이 5조 850억 원으로 2.9%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역시 680억 원으로 전년동기 40억 원 대비 큰 폭으로 늘었다.

에너지 소재 사업에서는 ‘포스코퓨처엠’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8,450억 원, 170억 원으로 25.7%, 55.3% 줄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캐즘 현상으로 실적이 회복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하이니켈 양극재 판매와 음극재의 고객사 공급망 다변화로 전 분기 대비 판매량은 증가했다.

인프라 부문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매출 8조 1,540억 원, 영업이익 2,700억 원을 기록해 각각 5.1%, 1.9% 늘었다. 이는 가스전 판매 확대와 발전 부문 실적 개선 덕분으로 분석됐다.

‘포스코이앤씨’는 건설 경기가 약화됨에 따라 매출이 1조 8,140억 원, 영업이익이 24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이 26.0%, 영업이익이 29.4% 낮아진 것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발표된 ‘현대자동차그룹’과의 철강, 이차전지 분야 상호 협력과, 핵심 사업 투자 확대, 비핵심 및 저수익 자산 구조 개편 상황도 공개했다.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2코어+뉴엔진’ 전략에 따라 철강, 에너지소재, 신사업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해 인도 ‘JSW그룹’과 현지 제철 합작 프로젝트 추진에 합의했고, 현대차그룹과 미래 모빌리티 부문 협력도 강화 중이다.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현대차그룹’과 제철소를 공동 투자하며 북미 철강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구조 개편으로 올 연말까지 2조 1,000억 원의 현금이 창출될 전망”이라면서 “올해 광양 전기로 신설,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 2단계, 호주 세넥스에너지 증산 등 핵심 사업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