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코스피가 미국 증시에서 확산된 ‘셀 USA’ 움직임과 투자심리 악화로 인해 변동성 확대가 예상된다. 미국발 관세 정책과 달러 약세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 결과다.
전일 국내 증시는 코스피가 0.20% 상승, 코스닥이 0.32% 하락하며 혼조세를 나타냈다. 특히 반도체 업종에서 예상치를 상회하는 수출 성장세와 금융주 강세가 주요 지수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내 수출은 이달 1~20일 중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했다. 이는 미국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반도체 분야는 예외적으로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며 업종 내 투자심리를 견인했다.
직전 거래일 미국 뉴욕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연방준비제도(연준) 독립성 이슈가 불거지면서 ‘셀 USA’ 흐름이 심화됐다. 3대 지수는 2% 중반대의 하락률을 기록했고, ‘매그니피센트7(M7)’ 전 종목이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엔비디아는 4.5%, 테슬라는 5.8% 급락했다.
미국 국채 시장에서는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8.2bp 상승한 4.413%를 기록했다. 달러화 가치는 달러인덱스가 99선 아래로 떨어지며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에 최저치로 마감했다.
국내 증시에도 미국발 기술주 하락과 미·중 관세 협상 난항,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압박 여파가 반도체와 2차전지 등 관련 종목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과 연준 간 갈등, 미국 기술주 급락 등 대외 악재로 인해 코스피가 약세로 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장중에는 저가 매수세가 일부 유입되며 낙폭 일부를 만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 정책이 계속되고 미·중 갈등이 심화되면 달러 약세와 ‘셀 USA’ 현상 장기화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를 부를 수 있다”고 전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달러 강세 전환이 투자심리 회복의 전제이나, 트럼프 행정부 정책 때문에 당분간 증시의 불안정한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주는 추가적인 미국발 정책 변화와 관세 협상 관련 소식, 국내외 주요 기업 실적 발표가 증시 변동성을 결정할 주요 변수로 꼽힌다. 업계는 단기적으로 변동성 확대와 투자주의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