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손해보험 매각이 무산된 이후 금융 당국이 후속 처리 방안을 고심하는 가운데, 가입자들이 계약이전을 촉구하며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계약이전은 MG손해보험이 보유한 보험계약을 다른 손해보험사에 넘기고 파산하는 방식으로, 기존 계약 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가입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힌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MG손해보험 가입자들은 지난 16일 서울 종로 금융위원회 앞과 강남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정부와 금융 당국에 강력한 대책을 요구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국회 국민동의청원도 진행 중이며, ‘MG손해보험 청산·파산 등으로 인한 가입 고객 피해 구제’ 청원은 전날 기준 2만4000명이 넘는 동의를 얻었다.

가입자들은 MG손해보험 노조의 무책임한 태도와 함께, 청산 시 예금자보호제도의 한계로 인해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예금자보호 대상에서 제외되는 계약자는 1만1470명, 보장금액은 1756억 원에 달한다. 또한 보호 대상자 역시 해약환급금 기준의 보상만 가능해 손해가 클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계약 인수를 위한 보험사 확보는 쉽지 않다. 대형 보험사들은 손실 가능성을 이유로 MG손해보험의 계약 인수를 꺼리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 당국은 감액 계약이전도 검토 중이다. 이는 보험금 지급 규모를 줄이는 방식으로 계약 조건을 변경해, 보험사 부담을 덜고 계약이전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이다.
보험업계는 이해관계가 얽힌 복잡한 상황 속에서도, 금융 당국이 궁극적으로 가입자 보호를 우선시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