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s)이란 일종의 검증 알고리즘입니다. 블록체인에서 디지털자산의 트랜잭션에 서명하고 승인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데이터 전송, 계약, 분산신원인증(DID, Decentralized Identity) 등에도 사용됩니다. 디지털 서명은 전자 서명(Electronic Signatures)과 다릅니다. 아무래도 용어가…
블록체인의 등장과 더불어 새롭게 등장한 탈중앙화 자율 조직인 다오(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는 어디서부터 출발했을까요? DAO의 시작 DAO는 DAC(Decentralized Autonomous Company, 분산 자율시스템 기업)라는 단어에서부터 출발했습니다. 업계에서는 BitShares, Steem, EOS의 창업자인…
스마트 컨트랙트, 어떻게 작동하는가?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상에서 전자 계약서로 이루어지며, 계약 당사자들끼리 합의한 내용 및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self-execution)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계약 내용을 스마트 컨트랙트 소스 코드로 작성하여 블록체인…
정의 유니스왑은 이더리움과 ERC-20 토큰 간의 자동 교환 거래를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 탈중앙화 거래소(DEX, Decentralized Exchanage)로, 온체인에서 탈중심화 지갑만 설치하면 유니스왑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유니스왑에 대해 알아보기 전 먼저 탈중앙화 거래소에…
2022년 9월, 이더리움 재단은 PoW(작업증명)에서 PoS(지분증명)로 채굴방식을 전환하는 머지(merge) 업데이트에 성공했습니다. 이더리움 재단은 PoS 전환에 따라 이더리움 네트워크 에너지 사용량을 약 99.95%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PoS란…
이더리움 개선 제안(EIP) ERC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EIP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이더리움 EIP(Ethereum Improvement Proposal)는 ‘이더리움 개선 제안’으로, 이더리움 커뮤니티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프로세스 또는 환경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설명하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은 2017년 세그윗(Seg Wit) 업데이트 이후 4년 만인 2021년 11월경 공식적인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곧은 뿌리\'라는 뜻의 탭루트(taproot)라고 부르는데요. 여기에는 이 업그레이드를 통해 비트코인이 기존의 기술적 한계를 보완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