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화 지갑과 탈중앙화 지갑

중앙화 지갑과 탈중앙화 지갑

디지털 자산 지갑은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디지털 자산을 넣을 수 있는 지갑으로 크게 두 가지 구분 기준이 있습니다. 먼저 인터넷 연결 여부에 따라 핫월렛(hot wallet), 콜드월렛(cold wallet)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디지털자산…
와인의 가치를 증명하는 블록체인

와인의 가치를 증명하는 블록체인

주류 트렌드로 자리 잡는 와인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음주(飮酒) 문화의 패러다임이 ‘취하는 것에서 즐기는 것’으로 변하며, 와인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와인 수입액이 전년 대비…
아쉬운 국내 분산ID 도입현황과 향후 전망

아쉬운 국내 분산ID 도입현황과 향후 전망

규제 특례를 받아야만 금융분야에 적용가능한 국내 분산ID 서비스 분산ID(Decentralized Identity)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누구나 투명하게 정보를 검증할 수 있으며, 본인의 신분증, 자격증 등 신원정보를 개개인이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오라클 활용 사례

오라클 활용 사례

오라클은 블록체인 밖에 있는 데이터 즉 외부 세계의 데이터를 블록체인 안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블록체인 밖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할 때 오라클 문제(Oracle Problem)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블록체인 분야에서 오라클 문제를…
CES 2023로 살펴본 블록체인 트렌드

CES 2023로 살펴본 블록체인 트렌드

CES2022 대비 낮아진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도 1년 전 CES 2022에서 블록체인은 상당한 주목을 받았습니다. 사실 전자제품 제조사들이 신제품 전시가 주류를 이루는 CES에서 실물이 없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은 블록체인…
오라클이란 무엇인가?

오라클이란 무엇인가?

오라클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유래된 오라클(Oracle)은 본래 신과 직접 소통하여 신탁을 전달해 주는 예언자로, 블록체인에서는 블록체인 밖에 있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안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축구 경기가 이루어지기…
DID,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DID,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탈중앙화된 환경에서의 개인신원 인증을 의미하는 DID는 아직 기술개발과 표준이 정립되고 있는 단계로 그 범위를 명확하게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신원인증에 대한 주체가 중앙화된 기관에서 개인에게로 권한이 이동한다는 것입니다.…
DID란 무엇인가?

DID란 무엇인가?

DID DID(Decentralized Identity, 분산신원확인)는 신원인증에 대한 새로운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신원을 인증하기 위해서는 중앙화된 기관의 확인 및 검증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DID는 기존의 중앙화된 기관의 확인 및 검증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중앙화된 기관…
이더리움 개선 제안(EIP)

이더리움 개선 제안(EIP)

이더리움 EIP 이더리움은 EIP(Ethereum Improvement Proposals)라고 불리는 ‘이더리움 개선 제안’ 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더리움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EIP 운영 방식과 결정 EIP는 이더리움 커뮤니티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더리움,…
래핑된 토큰이란?

래핑된 토큰이란?

블록체인은 고유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각각 설계가 다르기 때문에 네트워크 간 직접적인 통신(토큰 전송 및 DApp 이용 등)이 어렵습니다. 래핑된 토큰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자산의 토큰화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자산의 토큰화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자산의 토큰화를 위해서는 먼저 스마트 컨트랙트로 토큰 개발이 가능한 플랫폼을 선택해야 합니다. 현재까지 가장 대중적이고 안정적인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은 이더리움입니다. 물론 이더리움 외 레이어1 메인넷에서도 자사의 토큰화가 가능하지만 가장 범용적으로…
샤딩(Sharding)이란 무엇인가?

샤딩(Sharding)이란 무엇인가?

현재 블록체인 내에서 독립적,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노드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안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양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저장, 유지, 관리해야 합니다. 모든 노드가 같은 내용의 데이터를 중복해서 저장하기 때문에 높은…
블록체인으로 월드컵을 즐기는 방법

블록체인으로 월드컵을 즐기는 방법

세계 최대의 축제, 월드컵 각본 없는 드라마라 불리는 스포츠. 보는 것만으로도 전율을 선사하는 완벽한 콘텐츠 중 하나입니다. 그중 월드컵은 가장 인기 있는스포츠 콘텐츠라 할 수 있습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이 30.5억…
시빌 공격(Sybil Attack)이란 무엇인가?

시빌 공격(Sybil Attack)이란 무엇인가?

시빌 공격의 정의 시빌공격(Sybil Attack)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장악하려는 여러 위협 중 하나로, 공격자가 다수의 노드를 장악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공격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체를 장악하는 공격입니다. 여기서 시빌이라는 단어는 다중 인격 장애라고 불리는…
블록체인의 트릴레마 문제를 해결할 ‘레이어2 솔루션’ – 1편

블록체인의 트릴레마 문제를 해결할 ‘레이어2 솔루션’ – 1편

블록체인 시스템의 한계, 트릴레마(Trilemma) 이더리움을 공동 창업한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블록체인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했는데요. 바로 트릴레마에 대한 것입니다. 트릴레마는 확장성(Scalability), 탈중앙화(Decentralization), 보안성(Security)을 한 번에 해결하는 블록체인이 존재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산의 토큰화, ERC-721

자산의 토큰화, ERC-721

ERC-20의 ERC는 Ethereum Request for comments의 약자로, 이더리움 표준이 될 만한 아이디어를 뜻하며, 뒤의 숫자 20은 임의로 작성된 번호입니다. 정리하자면 이더리움 개발자들이 이더리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표준규칙에 대한 아이디어 그 아이디어를…
이클립스 공격이란 무엇인가?

이클립스 공격이란 무엇인가?

이클립스 공격의 정의 이클립스 공격(Eclipse Attack)은 공격자가 다수의 노드를 장악하여 특정 노드를 외부로부터 가리고 블록체인의 네트워크로부터 고립시키는 공격 방식입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노드들은 서로 다른 노드들과 거래 내역을 주고받으며 확인합니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