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다우지수 5년 만에 최대 폭락…상호관세 여파 "기술주·의류주↓"

나스닥 다우지수 5년 만에 최대 폭락…상호관세 여파 "기술주·의류주↓"
뉴욕증시. 사진제공/AFP통신

미국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79.39포인트(-3.98%) 떨어진 4만545.93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45포인트(-4.84%) 급락한 5396.5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50.44포인트(-5.97%) 급락한 1만6550.61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일간 낙폭을 기록했다.

미 증시에선 이날 하루 약 3조1000억달러(약 4500조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한 것으로 증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의 무역 적자 폭이 큰 교역 상대국에 추가 세율을 부과하는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나이키는 14.44% 급락했으며, 갭은 무려 20.29% 하락했다. 애플은 9.25%, 엔비디아 7.81% 각각 떨어졌다. 메타 8.96%, 테슬라 5.47%, 알파벳 4.02%, 마이크로소프트 2.36% 하락했다.

이른바 '공포지수'로 불리는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이날 30.2로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국제유가 역시 폭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4.76달러(6.64%) 폭락한 배럴당 66.9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6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4.81달러(6.42%) 무너진 배럴당 70.14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