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 비트코인(BTC) ©
5월 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뉴스BTC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자산운용 대표 세바스찬 베아(Sebastian Bea)는 미국 정부가 골드 자산의 장부가치를 시가로 재평가할 경우 최대 1,000억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매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국가 채무 증가 없이 예산 중립적으로 가능한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베아는 이날 팟캐스트 ‘더 스쿱(The Scoop)’에 출연해, 미국이 보유한 금 2억 6,150만 온스를 현재 장부가인 온스당 42.22달러가 아닌, 시장가인 3,303달러로 환산하면 약 9,000억 달러 이상의 차익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이 차익을 재무부 내 국가 전략자산 계정에 반영하면 별도 부채 없이 비트코인 매입에 활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1973년 이후 변하지 않은 ‘금의 법정평가가치’를 현 시세로 반영하려면 단순한 법 개정만으로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 제안은 공화당 소속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이 제출한 ‘BITCOIN 법안’과 유사하다. 해당 법안은 향후 5년간 예산 부담 없이 총 100만 BTC, 약 1,000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매입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베아는 “미국이 이 같은 규모로 비트코인을 매입할 경우, 다른 국가들도 경쟁적으로 따라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는 중앙은행들이 2023년 금을 1,037톤이나 매입했던 구조와 유사하며, 세계 경제 불안과 부채 증가에 대한 해지 수단으로 비트코인이 부상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번 아이디어는 단순한 논의에 그치지 않고 실제 추진 가능성도 거론됐다. 베아는 “의회가 새로운 지출 항목에 대한 재원 조달 방안을 찾을 때나, 정치적 여론이 루미스 법안을 지지할 경우 금 재평가가 촉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점은 “생각보다 빠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비트코인(BTC)은 94,896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 같은 논의가 가시화될 경우 미국발 비트코인 수요가 급증할 가능성이 제기된다.